본문 바로가기

Blockchain

[Two Cents #53] Web3 투자 Thesis

[Wallet]

(90년대의 브라우저/검색 서비스 경쟁 과정에 비추어 보면) wallet이, 아직은 digital asset과 NFT를 보유하는 말 그대로 ‘지갑 역할’에 머무르지만, 이 역할에 그치지 않고 일반 사용자의 Web3 on-boarding 접점으로서 가장 중요한 역할을 하는 요소가 될 것으로 본다.

향후 2–3년간 일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주요 변화를 추정해 보자면:

  1. dApp 검색, 접근, interaction 하기 위한 주된 UX 역할 (브라우저의 역할과 유사)
  2. (wallet에 보유하는) 여러 개의 NFT를 통하여, 각각 다른 dApp에 접근하는 다양한 identity를 제시하는 identity pool로서의 역할 (위 [NFT]에서 설명하였듯이)

Wallet이 UX의 최끝단 접점을 담당하게 됨에 따라, 그 수익 모델도 아주 큰 기회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본다.

구글이 대부분의 검색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되면서도 일부 광고주에게 keyword 광고비를 과금하면서 ‘money printing’을 하고 있듯이, Wallet의 주된 수익 모델도, dApp 접근을 위한 identity, UX, dApp Store 등의 주된 서비스는 대부분 무료로 제공되면서, 실제 수익 모델은 그 일부 사용자의 경제적 니즈를 충족시켜 주는 댓가로 받는 수수료 (fee)가 될 것으로 예상된다. 이미, Metamask이 대부분의 기본 서비스를 무료로 제공하지만, token swap에 대한 수수료를 주된 수익 모델로서 ‘21년에만 $200m 이상의 매출을 올린 것이 그 단적인 예이다.

어쨌든 wallet은 단순히 digital asset을 보유하는 ‘지갑’으로서의 역할은 주된 기본 기능으로 제공되겠지만,

  1. DEX/DeFi 등의 금융 인프라 접근 (Token Swap 기능, deposit/withdraw 기능, 결제 기능),
  2. dApp 접근을 위한 main UX로서의 역할, 즉 dApp을 찾고 (디렉토리, 검색), 접근하고 (예: bookmarking 기능), 이에 필요한 digital asset의 거래 관련 서비스 (token swap, lending, payment 등) 제공하고,
  3. dApp 접근을 위한 identity pool (자체 public key 및 보유하는 NFT 기반) 등의 역할

로 확장이 되고, 이 분야에서 주된 수익 모델을 만들어 내지 않을까 예상해 본다


또한, 지금까지 Metamask와 같은 non-custodial wallet이 대종을 이루었지만, 향후 Web3의 mass adoption이 진행되고 10억 명의 새로운 사용자가 유입되는 과정에서, 사용하기 쉬운 가입 기반의 custodial wallet 혹은 ‘wallet as a service’ 형태의 인프라가 기본 제공될 가능성이 크다고 본다. 특히, Web3 게임을 통하여 Web3 on-boarding하는 사용자 대부분은 첫 사용 단계에서는 (게임 사업자가 제공할 가능성이 높은) 가입 기반의 custodial wallet으로 서비스를 사용하기 시작할 가능성이 높다고 본다.

이러한 wallet 인프라는 다양한 방식의 수익 모델도 가능한, Web3 main UX, dApp discovery 등의 역할을 담당할 것으로 예상된다.

 

https://hur.substack.com/p/web3-thesis?s=w#%C2%A7wallet 

 

[Two Cents #53] Web3 투자 Thesis

향후 5년간 Web3 투자 기회에 대한 생각

hur.substack.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