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omputer Science/Network

데이터가 케이블에서 충돌하지 않는 구조

케이블에 데이터가 아무리 많이 전송되어도 데이터가 충돌하지 않는 구조를 알아보자.

 

전이중 통신과 반이중 통신이란?

  • 전이중 통신 방식: 데이터의 송수신을 동시에 통신하는 방식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해도 충돌이 발생하지 않음

e.g. 컴퓨터 간을 직접 랜 케이블(크로스 케이블)로 연결하는 방식이 전이중 통신 방식임

 

  • 반이중 통신 방식: 회선 하나로 송신과 수신을 번갈아가면서 통신하는 방식

데이터를 동시에 전송하면 충돌이 발생함

e.g. 허브에 연결하는 경우에는 반이중 통신 방식임

why? 허브 내부에는 송수신이 나누어져 있지 않기 때문에 컴퓨터 1과 컴퓨터 2를 허브(더미 허브)로 연결하여 동시에 데이터를 보내면 충돌이 일어남.

 

What if 허브가 아닌 스위치를 이용한다면?

스위치는 충돌이 일어나지 않는 구조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전이중 통신 방식으로도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음

-> 허브를 사용하면 충돌이 생기면서 네트워크 지연이 발생하기 때문에 최근에는 네트워크로 스위치를 사용하는 것이 표준임

 

+ 스위치는 전송하면서 수신도 가능해서 효율이 매우 높음

 

출처: 모두의 네트워크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IDC  (0) 2022.12.04
이더넷의 종류와 특징  (0) 2022.11.25
충돌 도메인이란?  (0) 2022.11.25
MAC 주소의 구조  (1) 2022.11.19
스위치 구조  (0) 2022.11.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