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lockchain

Public blockchain vs. Private blockchain

Public blockchain

퍼블릭 블록체인(Public blockchain)은 공개형 블록체인이라고도 불리며 거래 내역뿐만 아니라 네트워크에서 이루어지는 여러 행동(Actions)이 다 공유되어 추적이 가능하다. 퍼블릭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할 수 있는 조건(암호화폐 수량, 서버 사양 등)만 갖춘다면 누구나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비트코인, 이더리움 등이 있다.

 

Private blockchain

프라이빗 블록체인(Private blockchain)은 폐쇄형 블록체인이라고도 불리며 허가된 참여자 외 거래 내역과 여러 행동(Actions)은 공유되지 않고 추적할 수 없다. 프라이빗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참여하기 위해 한 명의 주체로부터 허가된 참여자만 참여하여 블록을 생성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나스닥(NASDAQ)의 링크(LINQ)와 미진(Mijin)이 있다.[2]

 

장점

- 허가받은 소수의 사람들이 참여하기 때문에 기밀성이 강화된 모델이며

- 신뢰할 수 있는 사람들만 참여하여 트랜잭션 속도가 빠르다

 

단점

- 적은 사람들에 의해 합의가 진행되기 때문에 일부 중앙화가 되어 보안성이 낮아질 수 있다

 

http://wiki.hash.kr/index.php/%EC%95%B5%EC%BB%A4%EB%A7%81

 

앵커링 - 해시넷

앵커링(anchoring)이란 프라이빗 블록체인에 기록된 데이터의 해시값을 주기적으로 퍼블릭 블록체인 안에 포함시키는 것을 말한다. 앵커(anchor)란 사전적 의미로 배가 정박할 때 움직이지 않도록

wiki.hash.kr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앵커링(anchoring)이란?  (0) 2022.04.04
Fungible Tokens  (0) 2022.04.04
metadata  (0) 2022.04.04
What is a Token?  (0) 2022.04.04
Smart Contract, Solidity, Klaytn SDK  (0) 2022.04.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