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Blockchain

metadata

 

메타데이터(metadata)는 데이터(data)에 대한 데이터이다. 이렇게 흔히들 간단히 정의하지만 엄격하게는, 캐런 코일(Karen Coyle)에 의하면 '어떤 목적을 가지고 만들어진 데이터(Constructed data with a purpose)'라고도 정의한다.

-> NFT에서의 메타데이터는 토큰 속성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의미함

(JSON 형태의 메타데이터입니다. 파일 이름과 설명, 이미지 링크를 입력합니다.)

 

데이터에 관한 구조화된 데이터로, 다른 데이터를 설명해 주는 데이터이다. 대량의 정보 가운데에서 찾고 있는 정보를 효율적으로 찾아내서 이용하기 위해 일정한 규칙에 따라 콘텐츠에 대하여 부여되는 데이터이다. 어떤 데이터 즉 구조화된 정보를 분석, 분류하고 부가적 정보를 추가하기 위해 그 데이터 뒤에 함께 따라가는 정보를 말한다.[1]

 

이를테면, 디지털 카메라에서는 사진을 찍어 기록할 때마다 카메라 자체의 정보와 촬영 당시의 시간, 노출, 플래시 사용 여부, 해상도, 사진 크기 등의 사진 정보를 화상 데이터와 같이 저장하게 되어 있다. 이러한 데이터를 분석하여 이용하면 그 뒤에 사진을 적절하게 정리하거나 다시 가공할 때에 아주 유용하게 쓸 수 있는 정보가 된다. GPS 기능을 사용하여 위치 정보까지 사진의 메타데이터에 입력할 수도 있는데, 이를 이용하면 사진이 어디에서 촬영되었는지를 쉽게 알 수 있고, 이로써 다시 다른 지역 정보를 검색하거나 같은 지역에서 찍은 다른 사진을 검색하게 하는 검색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메타데이터 -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2010년대에 메타데이터는 일반적으로 디지털 형태를 가리킨다. 그러나 1960~1970년대의 전통적인 카드 카탈로그들 또한 메타데이터의 한 예로 들 수 있으며, 이 카드들은 도서관의 책들에 관한 정

ko.wikipedia.org

 

Metadata API - KAS Docs

토큰의 메타데이터를 업로드합니다. 외부에서 접근할 수 있도록 URI를 제공합니다. 아래 항목을 요청 파라미터로 입력한 후 API를 실행하면 에셋 업로드와 마찬가지로 파일 이름과 콘텐츠 타입, U

docs.klaytnapi.com

 

'Blockchain' 카테고리의 다른 글

Fungible Tokens  (0) 2022.04.04
Public blockchain vs. Private blockchain  (0) 2022.04.04
What is a Token?  (0) 2022.04.04
Smart Contract, Solidity, Klaytn SDK  (0) 2022.04.03
Node란?  (0) 2022.03.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