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youtu.be/AEaKrq3SpW8?t=123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규칙이 있어야 함. 그 규칙에 패킷(packet)을 사용함
패킷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을 말함.
패킷 = 택배
큰 데이터가 있더라도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게 규칙임. 데이터는 택배처럼 작게 포장해서 보냄.
Q. 그럼 왜 굳이 작게 나누는 거임?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그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점유)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음. 예를 들어, 도로에서 보통 크기 승용차라면 정체없이 원활하게 지나갈 수 있는 도로가 있다고 치자. 이 도로에 대형 트럭이 차선 두 개를 모두 점령해 버리면 교통 정체가 일어남. 네트워크도 도로망과 마찬가지임.
+ 목적지로 보낸 패킷이 전송한 순서대로 도착하지 않을 수 있음. 또 패킷이 전송될 때 네트워크가 지연되어서 늦게 도착하거나 패킷이 누락되기도 함. 그래서 송신 측에서 수신 측으로 패킷을 보낼 때는 각 패킷에 순서대로 번호를 붙여서 보냄. 그럼 번호에 맞춰 정렬하면 되니까 늦게 도착한 패킷도 원래 위치로 돌아갈 수 있는거임
출처: 모두의 네트워크
'Computer Science > Network' 카테고리의 다른 글
캡슐화와 역캡슐화 (0) | 2022.11.16 |
---|---|
LAN vs. WAN (0) | 2022.11.15 |
DHCP란? (0) | 2022.11.13 |
Subnet이란? (0) | 2022.11.12 |
TCP란? (0) | 2022.11.1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