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mputer Science/Network (24) 썸네일형 리스트형 캡슐화와 역캡슐화 데이터를 보내려면 데이터의 앞부분에 전송하는 데 필요한 정보를 붙여서 다음 계층으로 보내야 함. 이 정보를 헤더라고 하는데 헤더에는 데이터를 전달받을 상대방에 대한 정보도 포함되어 있음. 이처럼 헤더를 붙여 나가는 걸 캡슐화라고 함. 한편 데이터를 받는 쪽에서는 헤더를 하나씩 제거해야 하는데 이를 역캡슐화라고 함. 응용 계층에서 데이터 링크 계층으로 전달 (캡슐화) 과정 Step 1. 응용 계층: 송신 측 컴퓨터에서 웹 사이트에 접속하려고 하면 응용 계층에서는 웹 사이트를 접속하기 위한 요청 데이터가 만들어짐 Step 2. 전송 계층: 전송 계층에서 신뢰할 수 있는 통신이 이루어지도록 응용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에 헤더를 붙임 Step 3. 네트워크 계층: 전송 계층에서 만들어진 데이터를 다른 네트워크.. LAN vs. WAN 네트워크는 접속할 수 있는 범위에 따라 크게 두 가지 종류로 나눌 수 있음 LAN (Local Area Network: 근거리 통신망): 건물 안이나 특정 지역을 범위로 하는 네트워크 가정이나 빌딩 안에 있는 사무실 같이 지리적으로 제한된 곳에서 컴퓨터와 프린터를 연결할 수 있는 네트워크임. 랜은 웬보다 범위가 좁고 속도가 빠르며 오류가 발생할 확률이 낮음 WAN (Wide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 지리적으로 넓은 범위에 구축된 네트워크. 인터넷 서비스 제공자 (ISP)가 제공하는 서비스를 사용하여 구축된 네트워크 랜과 랜을 연결하는 것으로 생각해도 됨. e.g. 서울과 부산 사무실 각각의 LAN을 연결하면 WAN을 구축하게 됨. 왠은 랜보다 범위가 넓고 속도가 느리며 오류가 발생할 확률.. 패킷이란? https://youtu.be/AEaKrq3SpW8?t=123 네트워크나 인터넷에서 데이터를 주고받으려면 규칙이 있어야 함. 그 규칙에 패킷(packet)을 사용함 패킷은 컴퓨터 간에 데이터를 주고받을 때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되는 데이터의 작은 조각을 말함. 패킷 = 택배 큰 데이터가 있더라도 작게 나누어서 보내는 게 규칙임. 데이터는 택배처럼 작게 포장해서 보냄. Q. 그럼 왜 굳이 작게 나누는 거임? 큰 데이터를 그대로 보내면 그 데이터가 네트워크의 대역폭을 너무 많이 차지(점유)해서 다른 패킷의 흐름을 막을 위험이 있음. 예를 들어, 도로에서 보통 크기 승용차라면 정체없이 원활하게 지나갈 수 있는 도로가 있다고 치자. 이 도로에 대형 트럭이 차선 두 개를 모두 점령해 버리면 교통 정체가 일어남. 네.. DHCP란?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l)란 사용할 수 있는 IP 주소 풀을 보유하고 있어, 클라이언트에게 자동으로 IP를 할당하는 서버이다. 네트워크 및 서브넷에 사용되는 IP 주소의 범위는 관리자가 설정할 수 있고, DHCP에서 각 호스트(인스턴스)에 IP 주소를 자동으로 할당한다. VPC에는 DHCP 서버가 동작하고 있어 인스턴스가 추가되면 해당 서브넷 범위의 IP 주소 중에 하나가 할당된다. VPC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IP 주소는 사설 IP 주소이다. 출처: 그림으로 이해하는 AWS 구조와 기술 Subnet이란? Amazon VPC (Virtual Private Cloud, AWS가 제공하는 AWS 계정 전용 가상 네트워크)를 사용하려면 서브넷 지식이 있어야 한다. AWS의 서브넷은 물리적인 위치와 관계가 있기 때문에 구조를 잘 이해해야 한다. 서브넷은 CIDR 표기를 사용한다. 서브넷이란 커다란 네트워크를 작게 나눈 네트워크를 말한다. 네트워크를 분할해 직접 통신할 수 있는 범위를 좁히고, 방화벽을 설정해 보안을 강화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AWS의 경우에는 어떤 가용 영역에 서브넷을 둘지 설정한다. 즉, 서브넷은 물리적인 장소를 특정한다. 또한, VPC는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네트워크 범위를 생성하고 그 아래에 용도에 따라서 서브넷(작은 네트워크)을 생성한다. 서브넷을 나누어 서브넷 A는 공개하고, 서브.. TCP란? 소켓에 기록된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는 커널 내에서 통신 대상에게 전달하기 위한 준비를 시작한다. 제일 먼저 임무를 수행하는 것이 전송 계층 프로토콜인 TCP다.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는 명칭 그대로 전송을 제어하는 프로토콜로, 신뢰도가 높은 데이터 전송을 가능케 한다. TCP의 역할 애플리케이션이 보낸 데이터를 그 형태 그대로 상대방에게 확실하게 전달하는 것이다. TCP가 담당하는 것은 어디까지나 서버가 송신할 때와 서버가 수신한 후 애플리케이션에게 전달할 때로, 상대 서버까지 전송하는 부분은 하위 계층인 IP에 모두 위임한다. TCP에 의존하지 않고 IP만으로도 통신할 수 있지만, IP에는 데이터가 상대방에게 확실히 전달됐는지 확인하는 기능이나 도착한 순서를 확인.. IP란? TCP 세그먼트가 만들어지면 다음은 IP 처리가 시작됨 IP는 Internet Protocol의 약자로, 명칭 그대로 오늘날 인터넷에서 사용되고 있는 가장 중요한 프로토콜 IP에는 프로토콜 종류에 따라 다른 버전이 있으며, 현재 폭넓게 사용되고 있는 것은 IPv4라 부리는 것임 최근에는 새로운 버전인 IPv6도 사용되고 있지만, 기업형 시스템 등에서는 대부분 IPv4를 사용하고 있음 IPv4와 IPv6는 명칭은 비슷하지만 기본적으로 상호 호환성이 없으면 전혀 다른 종류의 프로토콜이라 보는 것이 맞음 IP의 역할 지정한 대상 서버까지 전달받은 데이터를 전해 주는 것 단, IP에서는 반드시 전달된다고 보장하지 않음 IP 중요한 기능(서비스) IP 주소를 이용해서 최종 목적지에 데이터 전송 라우팅(Routin.. 라우팅이란? IP주소를 이용해 대상 서버를 지정할 수 있음 but 대상 서버가 항상 같은 네트워크 내에 있는 것은 아님 If so, 다른 네트워크에 있는 경우 어떻게 할까? 이 경우는 최종 목적지에 도착할 때까지 목적지를 알고 있는 라우터에 전송을 부탁함 How? IP 패킷을 받은 라우터는 해당 IP 패킷의 헤더에서 목적지를 확인해서 어디로 보내야할지를 확인함 이때 사용되는 것이 라우팅 테이블(경로표) 서버나 라우터는 자신이 알고있는 목적지 정보를 라우팅 테이블이라 하는 형태로 목록화함 라우팅 테이블은 사람이 직접 입력한 경로 정보나 자신의 서버에 설정된 IP 주소로 파악할 수 있는 정보 등 다양한 정보를 이용해서 구성됨 외부와 접속하는 네트워크는 보통 기본 게이트웨이 (Default Gateway)라는 라우터가 설.. macOS 네트워크 키워드 정리 이전에 야곰이 CS 공부하려면 macOS에서 시스템 환경설정 & 활성상태 용어를 정리해보라고 했다. 핵심은 한 줄로 설명하기! Why? 설명할 수 없으면 이해한게 아니다 ^.ㅠ 사실 이전에 이미 배웠는데 까먹은 것들도 있고.. or 공부는 했는데 정리를 안해놔서 ㅠㅠ -> 이런 것들은 갑자기 물어보면 기억이 안남 ㅠㅠㅋㅋ 뭐 다시 찾아보면 되지만?ㅋㄱ 공부를 했다는 거에 의의(?)를 둔 것들도 있고 (안 좋은 학습 습관이라 고치는 중이다 🤦♀️) 기술 직군으로 기본기 탄탄하게 일하려면 CS 공부를 더 하쟈!!!! 나는 똘똘하니까 잘할 수 있음ㅋㅋ System Settings > Network > Thunderbolt Bridge > Details Thunderbolt Bridge TCP/IP DHCP .. 소켓(Socket)이란? - 애플리케이션은 소켓을 사용해서 통신함 - 클라이언트 프로세스와 httpd 프로세스를 통해서 애플리케이션 계층 프로토콜인 HTTP 요청(데이터)이 통신할 때 소켓을 이용함. 밖으로 통하는 하나의 구멍(?)이라고 생각하면 됨 - 요청을 보내는 애플리케이션이 구멍에 데이터를 넣음. 이 구멍을 '소켓(Socket)이라고 함 - 소켓에 기록된 데이터는 다른 한쪽의 소켓으로 전달됨. - 이와 같이 애플리케이션 자체가 통신 구조를 가지지 않고서도 원격지에 있는 서버 애플리케이션과 소켓을 통해 통신할 수 있음. Q. 소켓은 어떻게 만들어질까? - 애플리케이션 프로세스가 네트워크 통신을 하는 경우, 커널에 'TCP/IP로 통신하고 싶으니까 상대방 애플리케이션과 통신할 수 있는 회선을 열어줘!'라고 의뢰함 => 의뢰 .. 이전 1 2 3 다음